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7

06. 우주 블랙홀에 들어간 물체는 어떻게 될까? 우주 블랙홀에 들어간 물체는 어떻게 될까? 1973년 이스라엘의 물리학자 베켄슈타인은 블랙홀이 특정한 온도를 가지고 이에 따라, 복사한다고 제안했습니다. 그리고 1974년 영국의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은 양자장론을 이용해 우주 블랙홀 복사를 증명해냅니다. 이 증명이 등장하기 전까지만 해도, 빛마저도 빠져나올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렇다면 스티븐 호킹이 이야기하는 블랙홀은 어떤 모습일까요? 양자역학이론에 따르면, 아무것도 없는 진공에서 입자와 반입자가 쌍으로 생겼다가 사라지는 현상이 무수히 반복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양의 에너지를 가진 입자는 밖으로 튕겨나가고, 음의 에너지를 가진 입자는 안으로 빨려들어가 블랙홀 내부의 질량을 갉아 먹는다는 겁니다. 블랙홀이 빨아들인만큼 내보낸다는 건데 결국 마지막.. 2021. 8. 15.
05. 우주의 결말은 어떻게 될까? 일반적으로 우주의 결말로 칭해지는 것은 빅 크런치와 빅 프리즈, 두개가 있다. 빅 크런치의 경우 우주의 밀도가 임계점을 넘으면 수축하기 시작하고, 결국 모든 것들은 우주가 시작했던 한 점으로 모여서 원점으로 돌아간다. 이 점은 다시 빅뱅을 일으켜 우주를 순환하게 한다. 빅 프리즈의 경우 우주의 밀도가 임계점보다 낮기에 팽창속도가 무한히 증가하여 결국 광속을 넘게 되고, 중력군으로 묶여있지 않은 은하군끼리는 떨어지게 된다. 결국 중력군에 묶여있지 않은 별들끼리는 소통수단이 없이 영원히 관측 불가능한 영역에 놓이게 되고, 남아있는 별들끼리도 팽창으로 인해 충분한 에너지가 모이지 못하게 되어 항성이 생성되지 않는다. 행성들은 남아있겠지만 죽음의 땅이 되버리며, 결국 아무도 생존할수 없는 무한히 높은 엔트로피의.. 2021. 8. 14.
04. 우주 멸망론 우주 멸망론에 있는 가설을 여러가지 가 있다. (지금은 걱정 안해도 된다! 적어도 우주가 멸망하려면 200억년은 기다려야 하니까!) 우주 멸망론1 빅뱅에 의한 가설이다. 과학자들은 우주가 무(無)의 상태에서 빅 뱅(대폭발)과 함께 태어났다고 생각하고 있다. 150억년전 빅뱅 100억년 전 우리 은하와 같은 은하들이 진화함 50억년전 우리 태양계가 태어남 ......그리고 그 이후로 우주는 계속 팽창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과학자들은 우주가 영원히 계속 커질수 없다고 생각한다. 일단 예를 들어보자 우주의 모든 입자가 고무줄로 연결되어 있다고 상상해 보라 그 고무 줄은 늘어날 수 있는 한도까지 늘어나면, 더이상 늘어나지 않고 다시 후퇴하기 시작할 것이다. 만약 설명이 이해가지가 않으면 풍선에다가 점을 몇개 .. 2021. 8. 14.
03. 별똥별이 떨어지는 이유 우주에서 펼쳐지는 아름다운 유성우, 그런데 이렇게 별똥별이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별똥별은 지구 대기권 밖에서 작은 암석같은 것들이 중력으로 인해 빠른속도로 떨어지는데요. 이때, 대기와의 마찰로 인해 타기 시작하고 우리가 봤을 때 그 모습이 밝게 빛나보이는 것이라 합니다. 그리고 별똥별을 만드는 암석조각들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혜성의 먼지,충돌로 인해 떨어져 나온 파편들 등 다양한 이유나 추측이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모든 암석이나 광석들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기는 힘든데요. 그 이유는 지구 대기권에서 이미 타버리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라고 해요. 이렇듯 별똥별은 쉽게 보기가 힘들고 더군다나 대기오염이 심한 서울하늘에서는 별조차도 제대로 보이기 힘들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새벽하늘에서 페르세우스 유.. 2021. 8. 14.
02. 별똥별이 지구와 부딪치지 않는 이유 별똥별은 하루에 약 8천만 개에서 1억 개 정도 떨어지지만 지구와 부딪치지는 않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별똥별은 인력 때문에 지구로 떨어지게 되는데, 대기권을 통과하면서 대부분 타서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별똥별이 탈 대는 밝은 빛을 내기도 하는데,. 바로 이것이 우리 눈에 보이는 것입니다. 때로는 타지 않고 지구에 떨어지는 별똥별도 있습니다. 그런 별 을 운석이라고 하는데, 지금까지 발견된 운석 중에서 가장 큰 것은 가로 3.2m, 세로 2.7m에 무게는 6만 kg이 넘는다고 합니다. 2021. 8. 13.
01. 유성이 펼쳐지듯 떨어지는 이유 유성우에서 볼 수 있는 유성들은 서로 평행선을 따라 떨어집니다 그러나 대기로 들어 오면서 타오르는 유성은 하늘의 어느 한 지점에서나와 사방으로 펼쳐지며 떨어지는것으로 보입니다 이 점을 방사점이라고 하는데 , 유성의 이름은 이 방사점이 어느 별자리에 있는가에 다라 붙게 됩니다 이 실험에서 나란히 평행선으로 늘어선 국수 가락이 유성이 떨어지는 자취를 나타 냅니다 1.고무 찰흙을 접시위에 평평하게 붙입니다 마른 국수 가락을 한 줌 집어 고무 찰흙위에 꽂습니다 국수 가락은 자 부서 지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2.국수 가락이 모두 수직으로 서 있는지 확인 하면서 꽂습니다 국수는 유성유 때 지구 대기속으로 들어서면서 먼지 입자를 나타 냅니다 3.이제 접시를 위에서 내려 보세요. 위에서 보았을때 국수 가락은 하나 같이 .. 2021. 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