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빨래방 창업하지 마세요- 1탄

by 네이다음 2021. 2. 19.

빨래방 창업하지 마세요

1인가구 증가율이 높다고
인건비 들지 않는다고 ,
무인으로 할 수 있어서 ,
창업비용 1억이면 된다고 ,
부업으로 300~500만원 가지고 간다고


빨래방 알아보시는 분들이 대부분 이런이야기들에 혹 해서
빨래방 알아보시는 분들 많더라구요
빨래방 요즘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핫한 자리에는 두세개씩 생깁니다.

그래도 창업하고 싶은 사람들은 넘쳐 나는가 봅니다.
베이비붐 시대에 은퇴하시는분들 쏟아져 나오니
빨래방이 동네방네 넘쳐 나는듯합니다.

얼마전에 빨래방을 오픈했고 자료를 찾다보니
빨래방에 대한 질문들이 간간이 올라옵니다.
대부분 비용이 얼마드느냐?
월 수익이 얼마나 되느냐?
이정도 질문인데
정작 필요한 질문 축에도 끼지 못합니다.

좋은질문을 해야 좋은 답을 얻을수 있듯이
모호한 질문을 하면 모호한 대답을 얻습니다.

그럼 정작 필요한 질문은
빨래방을 창업후 잘된다고 가정할 경우
근처에 나보다 더 크고 새로운 시설을 가지고
더 좋은 입지의 자리에 오픈할 경우 난 어떻게 할 것인가?
이게 해결이 안되면 창업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사람마다 창업하는 여건이 다르고 동기가 다릅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여건이 되는 부분과 택도 없는 부분이 있었고
동기도 남다릅니다.

빨래방을 창업하기 까지는 여러개의 중요한 질문의 산을 넘어야 합니다.
방금한 질문이 최종적으로 넘어야 할 산이라면

제일 많이 하는 질문순으로 답변을 하자면 이렇습니다.

1. 비용이 얼마나 드는가?

업계에서는 보통 1억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세탁기 3대 건조기 3대 쯤...
그런데 이게 되게 모호합니다.
1억이라면 창업할 수 있다고 마음을 먹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이게 쥐약입니다.
정말 할려는 마음이 이미 넘어온 사람에게 1억이면 창업은 가능하지만
경쟁력을 갖추려면.. 이라는 말로 시작해서 포인트 관리기, 스마트코인 시스템 , 운동화세탁기건조기 등등
인테리어 비용투자,, 라고 하면서 1억5천까지는 쉽게 도달합니다.
영업사원들도 눈치를 보아가면서 업주가 돈이 있다고 싶으면 2억까지 땡겨봅니다.
그래야 자기한테 생기는게 많을테니까요.. 암튼 그렇습니다.
빨래방세탁기중 삼성이나 엘지꺼는 싸구려에 속합니다. 용량이 17킬로 업소용으로 나왔지만
가격대가 3~4백만원대입니다. 빨래방용으로는 내구성 떨어집니다.

2. 인건비가 들지 않는다. 무인으로 가능하다.

뭐 이거는 틀린말은 아닙니다. 왠만큼 매출이 오르지 않고서는 사람을 고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무인으로 가능하다는 틀린말이라는것을 오픈하고 얼마후면 알게 됩니다.
빨래방위치가 나의 생활권과 거리가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일단은 매일 가야합니다. 매일 청소를 해야하고 청결 유지는 생명입니다.
더럽고 관리 안되는 빨래방 사람들이 가지 않습니다.
그리고 주말엔 사람들이 몰립니다. 국내에 수많은 빨래방이 들어왔습니다.
동전넣는순서, 문닫는 방법, 세제가 자동투입되는지? , 이게 세탁기인지 건조기인지
빨래방 들어와서 우왕좌왕하니 주인은 빨래방에서 대기 해야 합니다.
단골이 많아지기 전까지는.. 그래서 주말에 어디 가기 힘들게 됩니다.

3. 수익이 얼마나 되는가?

그건 저도 모릅니다. 매출 - 월세 - 세제값 -전기세 - 가스비 - 공과금등등을 빼야
순수익이 나옵니다. 내가 매일 빨래방을 가서 한시간 이상은 청소하고 거기까지 가는
기름값도 빼야하지요
다만 따로 인건비가 들지 않기 때문에 속썩이는 알바는 없습니다만
월 매출이 생각보다 매우 작습니다. 사람이 상주하는것도 아니고
빨래방에 오는 손님들은 몰리는 시간에만 몰리고 하루에 매출 빵원인날도 수두룩 합니다.
주말도 내내 바쁘지 않습니다. 몰리는 시간에만 몰립니다.
대신 빨래방은 손님만 많으면 수익률이 많이 올라가는 사업입니다.
요식업같은 경우 손님 많으면 사람 더 뽑아야 하고 식자재비중이 있는 편이지만
빨래방은 월매출 500이상으로 가면 매출액 대비 고정비 비중과 변동비가 큰 차이가
생기므로 수익률이 매우 좋아집니다. 월 1,000만원이상 나오면 왜만한 연봉 저리갈만큼
수익이 됩니다. 하지만 그정도 나오기 시작하기 전에 빨래방 하나 더 생길수도 있습니다.

4. 어떤 자리에 창업을 해야 하는가?

빨래방은 상권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입지 입니다.
상권이 좋은 지역은 당연히 권리금 보증금/월세 모두 비쌉니다.

우선 피해야 할 지역은 신시가지, 아파트 입니다.
신시가지는 빨래방도 안들어와 있고 상권도 형성이 안되었고
권리금도 없어서 좋을거 같지만 신시가지에 들어와 있는 건물주들이
대부분 투자로 들어왔기 때문에 객관적인 상권에 대한 데이터를 가지고
보증금/월세가 매겨 지는것이 아니라 투자금의 5% 수익이라는 기반으로
보증금과 월세가 결정이 됩니다. 권리금 없다고 무턱대고 누가들어오기전에
선점해야 한다고 들어갔다가는 크게 후회할 일이 두가지 생깁니다.

상권이 형성이 안되거나 입주가 늦어지거나 하는경우 1년만 지나면
주변의 보증금 월세가 한없이 내려가지 시작합니다. 배아프죠
더큰문제는 상권이 형성이 되지 않았다는것은 유동인구없고 장사안된다는 소리입니다.

그럼 반대로 잘되는 경우 어떨까요? 더 큰 자본을 가진 빨래방 업주의 먹잇감이 됩니다.
모니터링이 된다는 이야기이죠 나중에 들어오는 업체는 이미 자리잡은 빨래방을
모니터링 합니다. 신시가지는 상권이 안정되어 있지 않고 금세 장사가 안되는것들은
자리가 빠집니다. 하지만 구시가지는 가게들도 오래유지하고 있고
금세 자리가 빠지거나 하지 않습니다. 더 큰 업체가 들어오기도 쉽지 않구요
자리가 잘 나지 않기 때문에..

자리는 역시 1~2인가구 밀집지역인 빌라와 오피스텔을 끼고 있고 역세권이면 더더욱 땡큐
거기에 코너자리이면 월세가 비교적 저렴한 이면도로 그 옆에 편의점이나 카페있으면 굳~
아파트만 있는곳이라면 피하세요~

마지막으로 한가지 정보를 더 드리자면
빨래방의 세대 전환인데요

우리나라에 빨래방이 들어온것이 10여전에 들어왔는데

1세대는 코인빨래방에 세제와 린스를 따로 구입해서 투입하는 방식이었습니다.
물론 지금도 그렇게 하는곳이 여전히 남아 있기는 합니다. 세탁기+ 건조기 정도


2세대는 결제방식이 신용카드,스마트코인,선불포인트카드등 결제방식이 다양화된것과
시설도 세탁기와 건조기만 쓰던것에서 운동화 세탁기 건조기 등 가게 규모도 1세대가 10평미만 정도였다면
2세대는 20~30평대로 가고 참여하는 업체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해서 프차도 있고 수십여개의 브랜드가
성업중입니다.

3세대는 역시 멀티샵이 아닐까 싶네요 크린토피아+코인워시 그러니까 세탁편의점(드라이)+빨래방(물빨래) 가
선두주자이겠죠 창업비용도 적지 않죠..
편의점+빨래방 , 네일샵+빨래방,카페+빨래방 이런게 3세대가 아닐까 싶네요

제가 하는 빨래방은 3세대쯤 될텐데 1.2.3세대 모두 포함이 되는것 같습니다.
무인세탁편의점+빨래방인데 크린토피아는 유인이니까 더 진보된거라고 해야할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결제도 빨래와 건조는 코인 무인세탁편의점은 신용카드와현금이니까요

아무튼 주저리 주저리 수정하지 않고 쭉 써내려 갔습니다.
알고 있는거 쓴거라 객관적이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반박하고 싶은거 있음 댓글로 달아주시면 저도 지식을 늘려갈 수 있을거 같습니다.
사실 더 쓰고 싶은것들이야 있지만 이정도로 하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빨래방 창업하지 마세요 (아프니까 사장이다 [소상공인·자영업자·창업]) | 작성자 철든목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