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2년 혁신시제품 지정 공고(공급자제안형 1차) 신청방법 지원대상

by 네이다음 2022. 1. 22.

사업개요

상용화 이전의 혁신 제품을 구매하여 공공서비스를 개선하고, 공공수요에 기반한 테스트 기회와 초기판로 개척을 도모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제안제품(제품, 제품+서비스 포함)이 제조ㆍ납품 가능한 기업

☞ 혁신시제품 지정ㆍ구매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신청자격
- 제안제품(제품, 제품+서비스 포함)에 적용된 기술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제조‧납품이 가능한 기업으로, 혁신시제품 지정신청서 접수 마감일 까지 아래 사항을 충족하여야 함(기술보유기업은 생산시설 보유기업과 협업체로 참여 가능)

① 단독 참여(자체 제조 설비 보유) : ‘가’와 ‘나’ 사항을 모두 충족하여야 함
ㆍ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 입찰참가자격등록규정」에 따라 제안 제품(세부품명번호 10자리)을 제조물품으로 입찰참가 등록을 하고 물품식별번호 등록을 완료한 자 
ㆍ 제안제품에 적용된 특허(실용실안) 권리자(전용실시권리자 포함)로서 신청 제품의 제조 및 조달 납품에 관한 모든 권한을 보유한 자
  * 단,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을 직접 사업화하기 위하여 기술이전을 받는 경우는 ‘기술이전 업무협약서’로 대체할 수 있으나, 혁신제품 구매 운영 규정 제16조에 따른 심사 및 지정 전까지 특허 등의 권리(전용실시권 또는 통상실시권 포함) 등록을 완료하여야 함

② 협업체[추진기업(기술보유기업) + 참여기업(제조기업)] 참여
ㆍ 추진기업 :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 입찰참가자격등록규정」에 따라 입찰참가 등록을 하고, 제안제품에 적용된 특허(실용실안) 권리자(전용실시권리자 포함)로서 신청 제품의 제조 및 조달 납품에 관한 모든 권한을 보유한 자
  * 단,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을 직접 사업화하기 위하여 기술이전을 받는 경우는 ‘기술이전 업무협약서’로 대체할 수 있으나, 혁신제품 구매 운영 규정 제16조에 따른 심사 및 지정 전까지 특허 등의 권리(전용실시권 또는 통상실시권 포함) 등록을 완료하여야 함
ㆍ 참여기업:「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 입찰참가자격등록규정」에 따라 제안제품(세부품명번호 10자리)을 제조물품으로 입찰참가 등록하고 물품식별번호를 등록한 자

지원조건 및 내용

ㅇ 혁신시제품이란?

- 조달청에서 공고한 지정분야의 상용화 직전 제품(제품+서비스) 중 혁신성 평가와 조달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정부 혁신(시)제품으로 지정
- 혁신(시)제품으로 지정되면 지정기간(3년)동안 수의계약 대상이 됩니다. 단, 조달청 시범구매 대상여부는 관련규정에 의합니다.

  

ㅇ 지정 분야
- 혁신성장 지원 분야, 국민생활문제 해결 분야

구분 상세항목
1. 혁신성장 지원 분야 ①미래자동차 ②드론 ③에너지신산업 ④바이오 헬스⑤스마트공장 ⑥스마트시티 ⑦스마트팜 ⑧핀테크 ⑨로봇 ⑩인공지능(AI)

2. 국민생활문제 분야 안전, 환경, 건강, 복지, 교육, 문화, 치안
 3. 한국판뉴딜 2.0 분야 (디지털 뉴딜) ①D.N.A 생태계 ②비대면 인프라
③메타버스 등 초연결 신산업 ④SOC디지털화
(그린뉴딜) ⑤탄소중립 ⑥도시․공간․생활 인프라
⑦저탄소․분산형 에너지 ⑧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 자세한 사항은 ‘한국판 뉴딜 2.0(p25 ~p34.)참조
 ☞ 혁신장터 →혁신시제품 지정→신청공고건 선택→공고상세→ 첨부파일(8번)에서 확인

 

 

ㅇ 지정 대상 : 기술개발단계(TRL) 7~9①에 이르는 상용화 이전②의 혁신 솔루션(제품, 제품+서비스)으로 시범사용(최대 1년)내 기술혁신 성능 확인이 가능한 제품

- 하단의 첨부파일 참조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온라인 접수
- 혁신조달 종합포털 혁신장터(ppi.g2b.go.kr)
 
ㅇ 신청 서류 : 제안서 등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강원도 홈페이지(☞바로가기) 참조

문의처

ㅇ 조달청 혁신조달과(042-724-7664, 7683, 6420, 7217)

댓글